7. 추석 트래픽(난이도: 상)

이번 추석에도 시스템 장애가 없는 명절을 보내고 싶은 어피치는 서버를 증설해야 할지 고민이다. 장애 대비용 서버 증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작년 추석 기간인 9월 15일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초당 최대 처리량을 계산해보기로 했다. 초당 최대 처리량은 요청의 응답 완료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 시간부터 1초(=1,000밀리초)간 처리하는 요청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입력 형식

  • solution 함수에 전달되는 lines 배열은 N(1 ≦ N ≦ 2,000)개의 로그 문자열로 되어 있으며, 각 로그 문자열마다 요청에 대한 응답완료시간 S와 처리시간 T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 응답완료시간 S는 작년 추석인 2016년 9월 15일만 포함하여 고정 길이 2016-09-15 hh:mm:ss.sss 형식으로 되어 있다.
  • 처리시간 T는 0.1s, 0.312s, 2s 와 같이 최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기록하며 뒤에는 초 단위를 의미하는 s로 끝난다.
  • 예를 들어, 로그 문자열 2016-09-15 03:10:33.020 0.011s은 “2016년 9월 15일 오전 3시 10분 33.010초”부터 “2016년 9월 15일 오전 3시 10분 33.020초”까지 “0.011초” 동안 처리된 요청을 의미한다. (처리시간은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포함)
  • 서버에는 타임아웃이 3초로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시간은 0.001 ≦ T ≦ 3.000이다.
  • lines 배열은 응답완료시간 S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되어 있다.

출력 형식

  • solution 함수에서는 로그 데이터 lines 배열에 대해 초당 최대 처리량을 리턴한다.

입출력 예제

예제 1

  • 입력: [ “2016-09-15 01:00:04.001 2.0s”, “2016-09-15 01:00:07.000 2s” ]
  • 출력: 1

예제 2

  • 입력: [ “2016-09-15 01:00:04.002 2.0s”, “2016-09-15 01:00:07.000 2s” ]
  • 출력: 2
  • 설명: 처리시간은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포함하므로 첫 번째 로그는 01:00:02.003 ~ 01:00:04.002에서 2초 동안 처리되었으며, 두 번째 로그는 01:00:05.001 ~ 01:00:07.000에서 2초 동안 처리된다. 따라서, 첫 번째 로그가 끝나는 시점과 두 번째 로그가 시작하는 시점의 구간인 01:00:04.002 ~ 01:00:05.001 1초 동안 최대 2개가 된다.

예제 3

  • 입력: [ “2016-09-15 20:59:57.421 0.351s”, “2016-09-15 20:59:58.233 1.181s”, “2016-09-15 20:59:58.299 0.8s”, “2016-09-15 20:59:58.688 1.041s”, “2016-09-15 20:59:59.591 1.412s”, “2016-09-15 21:00:00.464 1.466s”, “2016-09-15 21:00:00.741 1.581s”, “2016-09-15 21:00:00.748 2.31s”, “2016-09-15 21:00:00.966 0.381s”, “2016-09-15 21:00:02.066 2.62s” ]
  • 출력: 7
  • 설명: 아래 타임라인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1초 각 구간의 처리량을 구해보면 (1)은 4개, (2)는 7개, (3)는 2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당 최대 처리량은 7이 되며, 동일한 최대 처리량을 갖는 1초 구간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구간이 아닌 개수만 출력한다.

문제 해설

이번 테스트의 마지막 문제이고, 가장 어려운 문제입니다. 초당 최대 처리량이 되는 구간 윈도우를 찾아야 하는 문제인데요. 당연히 처음부터 끝까지 스캔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크고, 게다가 ms 단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첫 로그 시각부터 마지막 로그 시각까지 1ms씩 증가시키면서 1000ms 단위의 슬라이딩 윈도우로 풀면 24 * 3600 * 1000 * n * 1000ms 만큼의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렇게는 풀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각 로그의 시작 시각부터 마지막 시각까지 1ms 씩 움직이면 time(ms) * n^2 이 되며, time(ms)의 값은 대부분 천 단위 이상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타임아웃이 발생하여 풀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요청량이 변하는 순간은 각 로그의 시작과 끝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로그 별 2번의 비교 연산만 수행하면 되며 2 * n^2, 빅오로 정리하면 O(n^2)에 풀 수가 있습니다. 빅오에서 제거된 상수항도 매우 작기 때문에 이 경우 무리 없이 문제를 풀 수 있게 되며 C++ 기준으로 10ms를 넘지 않습니다.

물론, 이 문제는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고도 풀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쓴다면, O(n log n)으로 풀 수 있는 방법도 있으니 한 번 고민해보세요. 이 문제는 가장 어려운 문제였던 만큼 정답률은 가장 낮은 17.99%입니다.




읽어도 처음에 내욜이 안와서 문제를 다시 반복해서 읽게 되었다. 처음엔 앞의 날짜와 시간이 시작 시간, 뒤의 s가 걸린 시간로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다가


앞이 끝난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다시 풀었다. 지문 자체가 길고 순간 당황스러워서 힘들었다. 예제 2번에서 해당 처리가 끝나는 순간도 하나의 처리로 취급한다는 것과 그렇기 때문에 2초가 걸린 처리들의 시작 시간은 2초를 빼는 것이 아니라 1.999초를 빼야 한다는 것 등


여러모로 힘들었던 문제이다.


앞의 날짜는 날려버리고 시간을 모두 0.000s 단위의 초로 변환을 한 후, Start Time과 End Time을 저장한 뒤에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었다.


package kakao02;

public class kakao02 {
	static int Answ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tring[] date1 = { "2016-09-15 01:00:04.001 2.0s", "2016-09-15 01:00:07.000 2s" };
		String[] date2 = { "2016-09-15 01:00:04.002 2.0s", "2016-09-15 01:00:07.000 2s" };
		String[] date3 = { "2016-09-15 20:59:57.421 0.351s", "2016-09-15 20:59:58.233 1.181s",
				"2016-09-15 20:59:58.299 0.8s", "2016-09-15 20:59:58.688 1.041s", "2016-09-15 20:59:59.591 1.412s",
				"2016-09-15 21:00:00.464 1.466s", "2016-09-15 21:00:00.741 1.581s", "2016-09-15 21:00:00.748 2.31s",
				"2016-09-15 21:00:00.966 0.381s", "2016-09-15 21:00:02.066 2.62s" };
		int example1 = Solution(date1);
		int example2 = Solution(date2);
		int example3 = Solution(date3);
		System.out.println(example1);
		System.out.println(example2);
		System.out.println(example3);
	}

	public static int Solution(String[] date) {

		int dateSize = date.length;
		String[][] dateSplit = new String[dateSize][];

		float[] sTime = new float[dateSize];
		float[] eTime = new float[dateSize];
		int maxCount = -1;

		for (int i = 0; i < dateSize; ++i) {
			dateSplit[i] = date[i].split(" ");
		}

		for (int i = 0; i < dateSize; ++i) {
			String[] tempTime = dateSplit[i][1].split(":");
			eTime[i] = Integer.parseInt(tempTime[0]) * 60 * 60 + Integer.parseInt(tempTime[1]) * 60
					+ Float.parseFloat(tempTime[2]);
		}

		for (int i = 0; i < dateSize; ++i) {
			String tempTime = dateSplit[i][2].substring(0, dateSplit[i][2].length() - 1);
			sTime[i] = -Float.parseFloat(tempTime) + eTime[i] + 0.001f;
		}
		int count = 1;
		for (int i = 0; i < dateSize; ++i) {
			for (int j = 0; j < dateSize; ++j) {
				if (i != j)
					if ((sTime[i] >= sTime[j] && sTime[i] <= eTime[j])
							|| (sTime[i] + 1.0f - 0.001f >= sTime[j] && sTime[i] + 1.0f - 0.001f <= eTime[j])
							|| (sTime[i] <= sTime[j] && sTime[i] + 1.0f - 0.001f >= eTime[j])) {
						count++;
					}
			}

			if (count > maxCount)
				maxCount = count;
			count = 1;

			for (int j = 0; j < dateSize; ++j) {
				if (i != j)
					if ((eTime[i] >= sTime[j] && eTime[i] <= eTime[j])
							|| (eTime[i] + 1.0f - 0.001f >= sTime[j] && eTime[i] + 1.0f - 0.001f <= eTime[j])
							|| (eTime[i] + 1.0f - 0.001f >= sTime[j] && eTime[i] <= eTime[j])) {
						count++;
					}
			}

			if (count > maxCount)
				maxCount = count;
			count = 0;
		}
		return maxCount;
	}
}


6. 프렌즈4블록(난이도: 상)

블라인드 공채를 통과한 신입 사원 라이언은 신규 게임 개발 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번에 출시할 게임 제목은 “프렌즈4블록”.
같은 모양의 카카오프렌즈 블록이 2×2 형태로 4개가 붙어있을 경우 사라지면서 점수를 얻는 게임이다.

만약 판이 위와 같이 주어질 경우, 라이언이 2×2로 배치된 7개 블록과 콘이 2×2로 배치된 4개 블록이 지워진다. 같은 블록은 여러 2×2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지워지는 조건에 만족하는 2×2 모양이 여러 개 있다면 한꺼번에 지워진다.

블록이 지워진 후에 위에 있는 블록이 아래로 떨어져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만약 빈 공간을 채운 후에 다시 2×2 형태로 같은 모양의 블록이 모이면 다시 지워지고 떨어지고를 반복하게 된다.

위 초기 배치를 문자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TTTANT
RRFACC
RRRFCC
TRRRAA
TTMMMF
TMMTTJ

각 문자는 라이언(R), 무지(M), 어피치(A), 프로도(F), 네오(N), 튜브(T), 제이지(J), 콘(C)을 의미한다

입력으로 블록의 첫 배치가 주어졌을 때, 지워지는 블록은 모두 몇 개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라.

입력 형식

  • 입력으로 판의 높이 m, 폭 n과 판의 배치 정보 board가 들어온다.
  • 2 ≦ n, m ≦ 30
  • board는 길이 n인 문자열 m개의 배열로 주어진다. 블록을 나타내는 문자는 대문자 A에서 Z가 사용된다.

출력 형식

입력으로 주어진 판 정보를 가지고 몇 개의 블록이 지워질지 출력하라.

입출력 예제

m n board answer
4 5 [“CCBDE”, “AAADE”, “AAABF”, “CCBBF”] 14
6 6 [“TTTANT”, “RRFACC”, “RRRFCC”, “TRRRAA”, “TTMMMF”, “TMMTTJ”] 15

예제에 대한 설명

  • 입출력 예제 1의 경우, 첫 번째에는 A 블록 6개가 지워지고, 두 번째에는 B 블록 4개와 C 블록 4개가 지워져, 모두 14개의 블록이 지워진다.
  • 입출력 예제 2는 본문 설명에 있는 그림을 옮긴 것이다. 11개와 4개의 블록이 차례로 지워지며, 모두 15개의 블록이 지워진다.

문제 해설

게임 요구 사항을 구현해보는 문제입니다. 같은 모양의 카카오프렌즈 블록이 2x2 형태로 4개가 붙어있을 경우 사라지면서 점수를 얻는 게임인데요. 인접한 모든 블록이 사라지는 실제 게임들과 달리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2x2로 제한하고, 사라진 블록 자리에는 새로운 블록이 채워지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블록을 모두 스캔해야 하는 문제라 짧지 않은 코드가 필요했을 것 같네요. 이번 시험에서 가장 긴 코드가 필요한 문제였습니다. 자바의 경우 무려 80라인이나 필요했네요. 블록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스캔하고 제거해 나가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더 이상 제거되지 않을 때 사라진 블록 자리의 수를 계산하면 됩니다.

이 문제의 정답률은 48.01%입니다.





문제가 어려운건 아닌데 string 내에서 setCharAt을 쓰려면 StringBuilder를 필요로 하고 그걸 또 관리하자니 귀찮아서 char 배열을 하나 만들었다.


while에서 무한히 돌길래 왜 도는가 했더만 count 초기화를 하지 않아서 그랬고 그 외에는 딱히 어려운 부분은 없었는데


효율적으로 작성된 코드였는지 모르겠다. 카카오 모의시험을 보니 효율성 검사도 있었기에 확신이 들진 않는다.


package kakao02;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kakao02 {
	static int Answ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tring[] board1 = { "CCBDE", "AAADE", "AAABF", "CCBBF" };
		String[] board2 = { "TTTANT", "RRFACC", "RRRFCC", "TRRRAA", "TTMMMF", "TMMTTJ" };
		int example1 = Solution(4, 5, board1);
		int example2 = Solution(6, 6, board2);
		System.out.println(example1);
		System.out.println(example2);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m, int n, String[] board) {

		int[] destroyBoardCheck = new int[m * n];
		char[] destoryBoard = new char[m * n];
		int maxCount = 0;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m; ++i) {
			for (int j = 0; j < n; ++j) {
				destoryBoard[i * n + j] = board[i].charAt(j);
			}
		}
		int to = 0;
		while (true) {
			count=0;
			Arrays.fill(destroyBoardCheck, 0);
			for (int i = 0; i < m - 1; ++i) {
				for (int j = 0; j < n - 1; ++j) {
					if (destoryBoard[i * n + j] != ' ' && destoryBoard[i * n + j] == destoryBoard[i * n + (j + 1)]
							&& destoryBoard[i * n + j] == destoryBoard[(i + 1) * n + j]
							&& destoryBoard[i * n + j] == destoryBoard[(i + 1) * n + j + 1]) {
						destroyBoardCheck[i * n + j] = 1;
						destroyBoardCheck[i * n + j + 1] = 1;
						destroyBoardCheck[(i + 1) * n + j] = 1;
						destroyBoardCheck[(i + 1) * n + j + 1] = 1;
					}
				}
			}
			for (int i = 0; i < m; ++i) {
				for (int j = 0; j < n; ++j) {
					if (destroyBoardCheck[i * n + j] == 1) {
						count += 1;
						destoryBoard[i * n + j] = ' ';
					}
				}
			}
			if (count == 0)
				break;
			maxCount += count;
			for (int i = m - 1; i > 0; --i) {
				for (int j = 0; j < n; ++j) {
					for (int k = 1; k <= i; ++k) {
						if(destoryBoard[i*n + j] != ' ')
						{
							break;
						}
						else if(destoryBoard[(i-k)*n + j] != ' ')
						{
							destoryBoard[i*n +j] = destoryBoard[(i-k)*n + j];
							destoryBoard[(i-k)*n + j] = ' ';
							break;
						}
						
					}
				}
			}

		}
		return maxCount;
	}
}


5. 뉴스 클러스터링(난이도: 중)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지는 뉴스, 특히 속보성 뉴스를 보면 비슷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많아 정작 필요한 기사를 찾기가 어렵다. Daum 뉴스의 개발 업무를 맡게 된 신입사원 튜브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다양한 뉴스를 찾아볼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개발의 방향을 잡기 위해 튜브는 우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카카오 신입 개발자 공채” 관련 기사를 검색해보았다.

  • 카카오 첫 공채..’블라인드’ 방식 채용
  • 카카오, 합병 후 첫 공채.. 블라인드 전형으로 개발자 채용
  • 카카오, 블라인드 전형으로 신입 개발자 공채
  • 카카오 공채, 신입 개발자 코딩 능력만 본다
  • 카카오, 신입 공채.. “코딩 실력만 본다”
  • 카카오 “코딩 능력만으로 2018 신입 개발자 뽑는다”

기사의 제목을 기준으로 “블라인드 전형”에 주목하는 기사와 “코딩 테스트”에 주목하는 기사로 나뉘는 걸 발견했다. 튜브는 이들을 각각 묶어서 보여주면 카카오 공채 관련 기사를 찾아보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듯싶었다.

유사한 기사를 묶는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논문과 자료를 조사하던 튜브는 “자카드 유사도”라는 방법을 찾아냈다.

자카드 유사도는 집합 간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여러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는 두 집합의 교집합 크기를 두 집합의 합집합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집합 A = {1, 2, 3}, 집합 B = {2, 3, 4}라고 할 때, 교집합 A ∩ B = {2, 3}, 합집합 A ∪ B = {1, 2, 3, 4}이 되므로,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 = 2/4 = 0.5가 된다. 집합 A와 집합 B가 모두 공집합일 경우에는 나눗셈이 정의되지 않으니 따로 J(A, B) = 1로 정의한다.

자카드 유사도는 원소의 중복을 허용하는 다중집합에 대해서 확장할 수 있다. 다중집합 A는 원소 “1”을 3개 가지고 있고, 다중집합 B는 원소 “1”을 5개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다중집합의 교집합 A ∩ B는 원소 “1”을 min(3, 5)인 3개, 합집합 A ∪ B는 원소 “1”을 max(3, 5)인 5개 가지게 된다. 다중집합 A = {1, 1, 2, 2, 3}, 다중집합 B = {1, 2, 2, 4, 5}라고 하면, 교집합 A ∩ B = {1, 2, 2}, 합집합 A ∪ B = {1, 1, 2, 2, 3, 4, 5}가 되므로, 자카드 유사도 J(A, B) = 3/7, 약 0.42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문자열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문자열 “FRANCE”와 “FRENCH”가 주어졌을 때, 이를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을 만들 수 있다. 각각 {FR, RA, AN, NC, CE}, {FR, RE, EN, NC, CH}가 되며, 교집합은 {FR, NC}, 합집합은 {FR, RA, AN, NC, CE, RE, EN, CH}가 되므로, 두 문자열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FRANCE", "FRENCH") = 2/8 = 0.25가 된다.

입력 형식

  • 입력으로는 str1str2의 두 문자열이 들어온다. 각 문자열의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이다.
  • 입력으로 들어온 문자열은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의 원소로 만든다. 이때 영문자로 된 글자 쌍만 유효하고, 기타 공백이나 숫자, 특수 문자가 들어있는 경우는 그 글자 쌍을 버린다. 예를 들어 “ab+”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ab”만 다중집합의 원소로 삼고, “b+”는 버린다.
  • 다중집합 원소 사이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의 차이는 무시한다. “AB”와 “Ab”, “ab”는 같은 원소로 취급한다.

출력 형식

입력으로 들어온 두 문자열의 자카드 유사도를 출력한다. 유사도 값은 0에서 1 사이의 실수이므로, 이를 다루기 쉽도록 65536을 곱한 후에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부만 출력한다.

예제 입출력

str1 str2 answer
FRANCE french 16384
handshake shake hands 65536
aa1+aa2 AAAA12 43690
E=M*C^2 e=m*c^2 65536

문제 해설

이 문제는 자카드 유사도를 설명해주고 자카드 유사도를 직접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자카드 유사도는 실무에서도 유사한 문서를 판별할 때 주로 쓰이는데요, 몰랐더라도 문제에서 자세히 설명해주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었을 거 같습니다. 공식은 매우 간단한데요, 교집합을 합집합으로 나눈 수입니다. 다만, 이 값은 0에서 1 사이의 실수가 되는데, 여기서는 이를 다루기 쉽도록 65536을 곱한 후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부만 취하도록 합니다.

문제 설명은 원소의 중복을 허용하는 다중집합multiset으로 되어 있는데, 자주 접하는 자료구조가 아니고, 일부 언어에서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가 아니라 어려워하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중집합 자료구조를 쓰지 않더라도, 각 원소를 정렬된 배열에 넣은 후 병합 정렬Merge sort에서 배웠던 코드를 응용, 어렵지 않게 합집합과 교집합 함수를 직접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다중집합의 교집합, 합집합만 잘 구해낸다면 이 문제는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으며, 다만 집합 A와 B가 모두 공집합일 경우에는 나눗셈이 정의되지 않으므로division by zero 따로 J(A,B) = 1로 정의합니다. 즉, 65536을 곱하면 이 경우 1 * 65536 = 65536이 정답이 됩니다. 예제 입출력에도 합집합이 공집합인 경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만 주의한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의 정답률은 41.84%입니다.




{1, 2, 2} 형태의 집합이라도 중복을 허용한다는게 첫 주의점이고 위의 문제 해설대로 각 집합의 개수가 0개일 경우를 설정하는 것이 두 번째 주의점이다.

그 외에는 딱히 어려운 점이 없는 것 같다. 그래서 4번 문제보다 정답률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package kakao02;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Vector;

public class kakao02 {

    static int Answ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1 = Solution("FRANCE", "french");
        int n2 = Solution("handshake","shake hands");
        int n3 = Solution("aa1+aa2","AAAA12");
        int n4 = Solution("E=M*C^2","e=m*c^2");
        System.out.println(n1);
        System.out.println(n2);
        System.out.println(n3);
        System.out.println(n4);

    }
    public static int Solution(String str1, String str2)
    {
        str1 = str1.toUpperCase();
        str2 = str2.toUpperCase();
        Vector<String> str1Sub = new Vector<String>();
        Vector<String> str2Sub = new Vector<String>();
        int str1SetCount;
        int str2SetCount;
        int sub;
        for(int i = 0; i<str1.length()-1;++i)
        {
           
            if(str1.charAt(i) < 65 || str1.charAt(i) > 90)
            {
                continue;
            }
            else if(str1.charAt(i+1) < 65 || str1.charAt(i+1)>90)
            {
                i++;
                continue;
            }
            str1Sub.add(str1.substring(i, i+2));
        }
       
        for(int i = 0; i<str2.length()-1;++i)
        {
            if(str2.charAt(i) < 65 || str2.charAt(i) > 90)
            {
                continue;
            }
            else if(str2.charAt(i+1) < 65 || str2.charAt(i+1)>90)
            {
                i++;
                continue;
            }
            str2Sub.add(str2.substring(i, i+2));
        }
        str1SetCount = str1Sub.size();
        str2SetCount = str2Sub.size();
        str1Sub.retainAll(str2Sub);
       
        sub = str1Sub.size();
        int parent = str1SetCount + str2SetCount - sub;
        System.out.println(parent);
        float result = (float)sub/(str1SetCount + str2SetCount - sub);
        if(parent == 0)
            result = 1;
        return (int)(result*65536);
    }
}


+ Recent posts